오늘은 앤 보이어의 에세이 한 편을 공유합니다. «언다잉»의 전작인 에세이 모음집 «어긋난 운명 안내서»A Handbook of Disappointed Fate 첫 글로 수록된 <아니요>No입니다. 보이어가 무엇을 쓰고자 하며 어떻게 쓰고 있는지를 여실히 드러내 주는 글이에요. ‘아니요’라는 부정이 “내 예술의 논리를 이끄는 주축”이라 선언하는 보이어는 자본주의적 ‘예’를 거스르는 ‘아니요’에서 부정과 긍정의 가능성을 동시에 끄집어 내며, 시에 이 가능성이 새겨져 있다고, 아니 새겨져야 한다고 역설합니다. 아직 앤 보이어라는 시인이 낯설게 느껴질 한국의 독자에게 단호하고 진실하면서도 불명료함의 여지를 남기고자 하는 그의 문학을 조명해 줄 수 있으리라 판단해 저작권자 앤 보이어의 허락을 받아 번역해 게재합니다. 이 글을 통해 회고록 집필자가 아닌 시인 앤 보이어의 면모를 확인할 수도 있겠지만, 반대로 이 글과 «언다잉»에서 서로의 메아리를 확인할 수 있음을 감안하면 «언다잉»이 어떤 정신에 입각해 쓰인 작품인지도 확연히 느낄 수 있을 거예요.
… 아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