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장 <가상 국가>
A 가상 국가
3장에서 잠시 중국 대륙으로 눈을 돌려 유민 내셔널리즘의 탄생과 전개를 고찰했던 «부흥 문화론»은 4장에서 유민 내셔널리즘이 근세 일본에 미친 영향을 살핍니다. 유민이 존재하지 않는 일본에서 유민 내셔널리즘이 수용된 양상을 후쿠시마는 ‘가상 국가’라는 개념으로 풀어 나갑니다.
후쿠시마는 «부흥 문화론» 전반에 걸쳐 일본이 ‘멸망을 모른다’고 지적합니다. 망국의 역사도 없거니와 ‘부분적 멸망’의 경험조차 직면하기보다는 주술화=예능화해 의식 바깥으로 몰아내려 한 일본에서는 중국 유민이 만들어 낸 ‘유민 내셔널리즘’ 같은 강렬한 내셔널리즘이 불가능했다는 것입니다.
그럼 일본에서 내셔널리즘은 어떻게 탄생한 것일까요. 4장 A편은 중국발 유민 내셔널리즘이 근세 일본에 ‘감염’된 경위를 보여 주며, 중국 유민이 그렸던 상실된 국가의 이미지가 일본에 ‘가상 국가’로서 덮어쓰기된 결과로 일본 내셔널리즘의 태동했다고 주장합니다. … «부흥 문화론» 내용을 소개합니다(4~6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