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번 스피박 인터뷰에 이어 이번에는 2018년에 니키타 다완의 사회로 스피박과 앤절라 데이비스가 나눈 대담을 공유합니다. 베를린에서 열린 어느 심포지엄을 마무리하는 토론의 일부로, «래디컬 필로소피» 2.05호(2019년 가을)에 <행성적 유토피아들>이라는 제목으로 게재되었어요. «래디컬 필로소피»의 허락을 받아 번역문을 블로그에 올립니다. 두 사람의 강연 및 대담 전체 영상을 유튜브에서 볼 수 있습니다.
저희를 비롯해 데이비스와 스피박의 만남이 뜻밖이라고 느낄 독자분들도 있을 텐데요. 그런 만큼 이 대담은 두 사람의 동지애를 확인시켜 주는 한편 그들 사이에 난 좁힐 수 없는 거리도 극명하게 드러내 줍니다.
데이비스가 미국의 상황을 중심으로 (특히 인종 문제를 둘러싼) 사회 운동과 정당 정치의 현실 및 새로운 가능성을 논한다면 스피박은 글로벌 남부 혹은 트리컨티넨트의 견지에서 데이비스의 논의에 집요하게 개입하고 있어요.
역사의 산증인이라 할 수 있는 두 사람의 대담이라 흥미진진하면서도 주목을 요하는 내용이 정말 많아요. 스피박과 데이비스뿐 아니라 오늘날 정치를 어떻게 생각해야 하는지에 관심을 가진 모든 분이 읽어 보시면 좋겠습니다.
… 행성적 유토피아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