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너무슬픔’이 감정들에 대해 이야기하다

‘오늘너무슬픔’이 감정들에 대해 이야기하다 [1]

2016년 3월 15일 | 헤더 해브릴레스키
김지현 옮김

슬픈 사람은 외로워지기 쉽다. 온라인에서는 더더욱 그렇다. 그곳은 파티에서 찍은 셀카, 요가 여행에 대한 페북 포스트, 최근에 당신이 가지 못했던 엄청 재밌는 이벤트에 대해 신나게 떠드는 사람들의 트윗 등이 넘실거리는 바다니까. 하지만 그 틈에는 불안의 섬, 애정 결핍 아웃사이더들의 놀이터도 존재한다. 멀리사 브로더의 ‘오늘너무슬픔’@sosadtoday 트위터 계정이 바로 그곳이다. “네가 두려워하는 일은 일어나지 않을 거야. 그 대신 다른 나쁜 일이 일어날걸.” 2016년 3월 10일 자 트윗이다. 3월 9일에는 “내 불안이 여전한지 5초에 한 번씩 확인하는 것도 재능이지”, 3월 8일에는 “나는 뚱뚱하다는 생각에 사로잡힌 무한한 우주의 작은 점일 뿐이야”라는 트윗이 올라왔다. 브로더가 이 익명의 계정을 운영하기 시작한 것은 자신의 고독과 불안에 대처하기 위해서였다. ‘오늘너무슬픔’이 감정들에 대해 이야기하다

«오늘 너무 슬픔» 표지 디자인 후기

오너슬 미국판 영국판.png
«오늘 너무 슬픔»(So Sad Today) 미국판/영국판 표지

하면 할수록 어렵다 디자인. 예전에는 나를 디자이너라고 소개하는 데에 거리낄 것이 없었는데 지금은 어쩐지 쭈뼛거리게 된다. 디자이너라는 직업을 가진 사람들 중에는 대단한 사람들이 (내가 모르는 사람들까지 포함해) 너무나 많은데 내가 그런 사람들과 같은 직업명을 가져도 되는 것일지 확신이 서지 않는다. SNS에만 들어가 봐도 특정 책의 표지 디자인을 혹평하거나 찬양하는 사람들이 널렸고, 또 현재 북디자이너들의 작업이 얼마나 구린지를 단 한 문장으로 평가해 버리는 이들이 내 가슴을 후벼판다. 작업 하나하나를 거칠 때마다 부담과 불안만 커지고 그것들이 나를 못살게 군다. 이번 작업도 중간에 엉엉 울어버릴 만큼 힘이 들었는데, 그냥 이 정도가 내 한계인가 싶어 자포자기하듯 초연해졌다가도 갑자기 스스로에게 벌컥 화가 나기를 반복했던 것 같다.

«오늘 너무 슬픔» 표지 디자인 후기

온전하고도 깡마른 사람이 되고 싶어

«오늘 너무 슬픔»은 멀리사 브로더라는 여성이 살면서 겪은 정신적 고통과 중독, 로맨스와 섹스를 진솔하면서도 유머러스하게 기록한 책입니다. 그중에서 솔직함이 특히 빛나는 대목은 여성인 자신에게 부과된 제약들에 대한 모순된 태도를 털어놓는 부분들이 아닐까 싶습니다. 사회가 정해 놓은 기준을 거부하고 싶은 한편으로 누구보다 거기에 부합하는 사람이 되고픈 욕구, 다른 사람들은 다 잘 헤쳐 나가고 있고 나만 엉망진창인 것만 같은 불안 등 지은이의 이야기를 듣다 보면 이이가 우리 대부분의 머릿속 생각을 대신 말해 주고 있다는 인상을 받게 됩니다. 자신을 “심오하게 얄팍한 여자”라고 지칭하는 <온전하고도 깡마른 사람이 되고 싶어> 챕터 역시 그런 모순과 불만족스러움, 그럼에도 자신을 긍정하는 지은이의 태도가 잘 드러나는 글이고, 이 글이 독자들에게도 공감을 불러일으키길 기대하며 해당 챕터를 맛보기로 공개합니다. 온전하고도 깡마른 사람이 되고 싶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