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없는 봄

재클린 로즈Jacqueline Rose의 글 <끝없는 봄>An Endless Seeing을 번역해 공유합니다. «뉴욕 리뷰 오브 북스»The New York Review of Books 2022년 1월 13일 자에 실린 글이고,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아 블로그에 게재합니다(Copyright © 2022 Jacqueline Rose).

이 글은 2021년 출간된 로버트 자레츠키Robert Zaretsky의 «전복적 시몬 베유»The Subversive Simone Weil: A Life in Five Ideas에 대한 서평 격으로 쓰인 글입니다. 로즈는 자레츠키의 책을 다루는 대신 이를 매개 삼아 베유의 생애 및 생각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시도합니다. 그리하여 특정 책의 서평보다는 재클린 로즈 버전의 ‘시몬 베유론’이라 할 만한 글이 탄생했어요.

이전에 재클린 로즈가 시몬 베유에 관한 글을 쓴 적이 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저희가 알고 있었던 건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갈등을 중심으로 이른바 중동 문제를 살핀 저작 «마지막 저항»의 제사로 <일리아스 또는 힘의 시> 한 구절(“힘을 소유한 사람은 아무런 저항도 없는 공간을 걸어 나갑니다. 그 주변의 인간 물질 가운데 그 어떤 것도 그의 충동과 행위 사이에 생각이 머물 짧은 틈을 만들어 내지 못합니다”)을 사용했다는 사실 정도였어요. 어쩌면 베유를 본격적으로 다룬 첫 글일지도 모를 이 서평에서 로즈는 베유의 저작과 노트, 편지를 오가며 ‘정의’라는 이념에 주목합니다.

끝없는 봄

야만에 대한 성찰들

«일리아스 또는 힘의 시» 출간과 더불어 시몬 베유의 짧은 글 하나를 공유합니다. <일리아스 또는 힘의 시> 집필과 비슷한 시기인 1939년 작성한 미완성 원고인 <야만에 대한 성찰들>(Réflexions sur la barbarie)입니다.

정치 철학자 로베르토 에스포지토는 시몬 베유와 한나 아렌트의 정치 사상을 대조하는 책 «정치적인 것의 기원»(L’Origine della politica, 1996)에서 이 글이 <일리아스 또는 힘의 시>와 가장 긴밀하게 엮인 전주곡이라고 지칭한 바 있습니다. 이 글에서 베유가 과거에 대한 향수에도, 진보에 대한 믿음에도 반대하며 ‘힘’을 “인간 본성의 보편적인 상수이자 불변항으로” 평가하기 때문입니다.

이 글에서 베유는 “힘 개념에 초점을 맞추지 않으면 인간 관계들을 명료하게 사고할 수 없다”고 말합니다. 이는 <일리아스 또는 힘의 시> 전체를 아우르는 메시지이자 베유 철학의 무게 중심입니다. 그리고 문명화와 진보가 위험한 까닭은 야만이 종식되었다는 환상을 초래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이후 전개된 상황을 통해 극단적인 문명화가 세계 대전으로 이어졌음을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2차 대전 이후의 현대사는 이를 교훈 삼아 힘을 쫓아내려 애써 온 역사일까요? 전혀 그렇지 않음을 날마다 확인하고 있고, 베유의 독특한 입장으로 돌아갈 필요가 있는 것도 이 때문일 겁니다.

이처럼 이 글은 <일리아스 또는 힘의 시>로 진입하는 통로로 기능하는 한편 당대 정치적 상황에 대한 베유의 우려도 명확히 드러내 주고 있습니다. 베유의 저술들이 동시에 번역되어 그에게 관심을 가지게 된 독자분이라면 이 글부터 읽으셔도 좋으리라 생각합니다.

<야만에 대한 성찰>은 베유의 «전집»(Œuvres complètes) II-3권(Gallimard, 1989), 222~225쪽에 실렸고, «선집»(Œuvres, Gallimard, 1999), 503~507쪽에도 수록되었습니다.

야만에 대한 성찰들

«일리아스 또는 힘의 시»

«일리아스 또는 힘의 시»
시몬 베유 지음 | 이종영 옮김 | 124쪽 | 12,000원

1938년경 시몬 베유는 한 편의 글을 집필하기 시작한다. 유럽 대륙에 불길한 전쟁의 기운이 감돌던 시점에 쓴 이 글은 뜻밖에도 고대 그리스의 대표적인 서사시를 다루고 있다. 시몬 베유의 가장 중요하고 아름다운 논고 중 하나로 손꼽히는 <일리아스 또는 힘의 시>가 바로 그 글이다.

리시올 출판사는 이제까지 국내에 번역된 적 없는 베유의 <일리아스 또는 힘의 시>를 처음 번역 출간한다. 이 글에서 베유는 독창적인 방식으로 호메로스의 «일리아스»를 해석한다. 그가 보기에 이 서사시의 진짜 주인공이자 중심 주제는 위대한 영웅들이 아니라 힘이다. 베유는 힘의 논리에 입각해 «일리아스»를 읽고 이 서사시가 전쟁의 차가운 잔혹성과 공평성을 서구 역사상 그 어떤 작품보다도 선명하고 생생하게 드러낸다고 주장한다. 나아가 베유에게 이 시는 여러 형태의 순수한 사랑을 그림으로써 사람들이 힘의 포획에서 벗어나 영혼을 지니게 되는 “그 짧고 신적인 순간”을 묘사하고 있기도 하다.

이 책은 또 베유의 미완성 원고 <마르크스주의적 독트린은 존재하는가>를 함께 수록하고 있다. 중력과 은총의 대립으로 잘 알려진 베유의 사고 체계는 <일리아스 또는 힘의 시>에서 힘과 거기서 빠져나오는 은총의 대립으로 형상화된다. 그리고 <마르크스주의적 독트린은 존재하는가>에서 이 대립은 베유가 마르크스주의 사고의 약점으로 지적하는 필연성과 초자연적인 것의 대립으로 이어진다. 이렇게 두 글은 «일리아스»와 마르크스라는 상이한 대상을 다루지만 힘과 필연성, 전쟁, 은총 등의 주제를 중심으로 동일한 짜임새를 갖추고 있다.

그 어느 때보다 힘과 권력이 숭배되고 힘의 격차는 나날이 벌어지는 오늘날 힘과 필연성, 불행, 선, 은총, 주의(관심), 교육 등에 대한 그의 성찰은 우리에게 사고와 태도의 방향을 제시해 준다. 이 새로운 번역을 통해 우리는 그동안 오해받았거나 잊혔던 시몬 베유의 생각들을 더 체계적으로 들여다볼 수 있을 뿐 아니라 우리 시대의 문제들에 그가 어떤 도전을 제기하는지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일리아스 또는 힘의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