앤 보이어가 저널 «더 엔드 오브 더 월드 리뷰»(The End of the World Review) 지면에서 샘 재피 골드스틴(Sam Jaffe Goldstein)과 나눈 인터뷰를 공유합니다. «언다잉» 출간 1년 후인 2020년 9월의 인터뷰로 팬데믹 이후의 세상과 문학에 대한 생각을 선명한 언어로 밝히고 있어요.
특히 이 인터뷰에서는 «언다잉»에서도 중요한 키워드였던 데이터라는 주제가 부각됩니다. 보이어는 ‘데이터로 환원되는 자기(self)를 되찾으려 반항’하는 작가지만 현대 사회의 모순을 몇 가지 키워드로 단순화하고 손쉬운 비관을 말하는 사람은 아님이 이 인터뷰에 잘 드러납니다.
지배 계급의 이익에 복무하는 “문학 하는 남자들”에 대한 비판으로 포문을 연 보이어는 팬데믹 상황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불평등의 심화를 짚고, “공적 애도”가 부재하는 현실을 통탄하며, 그럼에도 포기할 수 없는 존엄에 대한 투쟁(과 낙관)을 말하며 혁명적인 작가들을 인용합니다.
«언다잉»에서 “계속 살아 있기 위해 진 빚을 이 세상에 갚으려면 앞으로 얼마나 많은 책을 써야 하는 걸까?”라는 말로 생존자의 부채감을 토로했던 보이어가 얼마나 놀라운 활력과 지성으로 빚을 갚아 나가고 있는지를 가감 없이 보여 주는 인터뷰예요.
이 인터뷰도 번역가 양미래 선생님이 옮겨 주셨고 저작권자인 샘 재피 골드스틴과 «더 엔드 오브 더 월드 리뷰»의 허락을 받아 번역 게재합니다. 앤 보이어의 변함 없는 입장을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포괄적인 쟁점들에 대한 그의 생각을 엿볼 수 있는 기회예요.
… 감출 만한 것을 가능한 한 빨리 찾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