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만에 대한 성찰들

«일리아스 또는 힘의 시» 출간과 더불어 시몬 베유의 짧은 글 하나를 공유합니다. <일리아스 또는 힘의 시> 집필과 비슷한 시기인 1939년 작성한 미완성 원고인 <야만에 대한 성찰들>(Réflexions sur la barbarie)입니다.

정치 철학자 로베르토 에스포지토는 시몬 베유와 한나 아렌트의 정치 사상을 대조하는 책 «정치적인 것의 기원»(L’Origine della politica, 1996)에서 이 글이 <일리아스 또는 힘의 시>와 가장 긴밀하게 엮인 전주곡이라고 지칭한 바 있습니다. 이 글에서 베유가 과거에 대한 향수에도, 진보에 대한 믿음에도 반대하며 ‘힘’을 “인간 본성의 보편적인 상수이자 불변항으로” 평가하기 때문입니다.

이 글에서 베유는 “힘 개념에 초점을 맞추지 않으면 인간 관계들을 명료하게 사고할 수 없다”고 말합니다. 이는 <일리아스 또는 힘의 시> 전체를 아우르는 메시지이자 베유 철학의 무게 중심입니다. 그리고 문명화와 진보가 위험한 까닭은 야만이 종식되었다는 환상을 초래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이후 전개된 상황을 통해 극단적인 문명화가 세계 대전으로 이어졌음을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2차 대전 이후의 현대사는 이를 교훈 삼아 힘을 쫓아내려 애써 온 역사일까요? 전혀 그렇지 않음을 날마다 확인하고 있고, 베유의 독특한 입장으로 돌아갈 필요가 있는 것도 이 때문일 겁니다.

이처럼 이 글은 <일리아스 또는 힘의 시>로 진입하는 통로로 기능하는 한편 당대 정치적 상황에 대한 베유의 우려도 명확히 드러내 주고 있습니다. 베유의 저술들이 동시에 번역되어 그에게 관심을 가지게 된 독자분이라면 이 글부터 읽으셔도 좋으리라 생각합니다.

<야만에 대한 성찰>은 베유의 «전집»(Œuvres complètes) II-3권(Gallimard, 1989), 222~225쪽에 실렸고, «선집»(Œuvres, Gallimard, 1999), 503~507쪽에도 수록되었습니다.

야만에 대한 성찰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