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다른 투기는 가능하다

미셸 페어가 2021년 초 벌어진 ‘게임스탑 사태’를 다룬 글인 <또 다른 투기는 가능하다>를 번역해 공유합니다. 이 글은 인류학자이자 «피투자자의 시간» 출간을 결심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해 주신 이승철 선생님께서 옮겨 주셨어요. 이 글은 시드니 대학에 기반을 둔 ‘정치 경제학의 진보'(Progress in Political Economy, PPE)에 게재되었고, 미셸 페어와 PPE의 허락을 얻어 번역문을 블로그에 올립니다.
원문 링크: Another Speculation is Possible: The Political Lesson of r/WallStreetBets

게임스탑 사태(본문에 세부 정황이 나와 있어요)는 레딧에 모인 아마추어 투자자들이 대형 헤지 펀드와 플랫폼을 한 방 먹인 통쾌한 사건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카지노 자본주의의 위험과 어리석음을 보여 주는 사례 이상으로 해석되는 경우는 많지 않은 것 같아요.

반면 미셸 페어는 투기의 동학을 이제 많은 사람이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을 이 사태가 증언하고 있다 말합니다. 그러곤 물어요. “콘솔 비디오 게임과 구식 휴대 전화의 영광을 지키기 위해 행해진 이 같은 실천들을 다른 목적을 위해서도 활용할 수 있을까?”

«피투자자의 시간»에서도 강조하듯 페어는 약탈적인 기업과 금융 기관에 불리한 방향으로 대항 투기를 벌이려면 “정치적으로 활동적인 ‘도박 공동체들’과 대안적인 ‘평가 기관들’[신용 평가사]로 이루어진 생태계가 필요하다”고 역설합니다.

그리고 플랫폼의 발달 덕분에 힘 없는 이들이 금융의 “자기 실현적 예언” 게임에 참가해 영향력을 발휘하기 수월해졌다고 말하면서 “이제 또 다른 투기가 가능해졌다”고 주장해요.

게임스탑 사태는 금융 자본주의에 의식적으로 도전한 사례는 아닐지라도 이런 전략들의 활용 가능성을 드러내 준 사건이라 할 만해요. 이런 가능성에 주목하다 보면 우리의 관심사도 어떤 액티비즘이 ‘정치적으로 순수하냐’에서 ‘다른 목적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느냐’로 옮겨 가지 않을까 싶습니다.

아울러 게임스탑 사태에서 일반 투자자들이 “금융시장의 자기참조적 구조”를 간파해 활용했고, 이 ‘운동’이 포퓰리즘적 요소를 포함했음을 분석하는 이승철 선생님의 논문 <금융의 프랑스 혁명?: 게임스탑 사태와 투자자 포퓰리즘의 등장>(«문화연구» 10.1, 2022)도 함께 읽어 보시면 좋겠습니다(오픈 액세스라 무료로 다운받아 볼 수 있어요).

또 다른 투기는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