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연구자 김정복 선생님의 «부흥 문화론: 일본적 창조의 계보» 서평을 공개합니다.
김정복 선생님은 후쿠시마 료타의 첫 단행본 «신화가 생각한다: 네트워크 사회의 문화론» 한국어판의 옮긴이로, 저희 역시 이 한국어판을 통해 후쿠시마 료타라는 비평가를 처음 알게 되었기 때문에 이 글이 한층 각별하게 느껴집니다.
이 글은 2000년대 이후 일본 비평계의 전개 속에서 후쿠시마 료타라는 비평가가 차지하는 위상을 압축적으로 해설해 주며, 전작인 «신화가 생각한다»와 «부흥 문화론» 사이에 존재하는 단층(그리고 공유된 문제의식), 제2차 세계대전을 중심 축으로 전개된 일본 문화론의 흐름에 비춘 이 책의 의미를 간명히 짚습니다.
나아가 이 글은 2011년 3·11이라는 대재난 이후 일본 문화계에서 대두된 ‘부흥’의 과제에 이 영민한 비평가가 어떤 의도와 전략으로 개입하고자 했는지를 상상해 보게 만들기도 합니다. 코로나(COVID-19)로 촉발된 전 세계적 규모의 재난 속에서 «부흥 문화론»이 우리에게 어떤 시사점을 줄 수 있을지, 이 서평과 함께 생각해 보시길 권합니다. … «부흥 문화론: 일본적 창조의 계보»를 읽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