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행복한 늙은 소녀예요

스피박은 개인사를 자신의 논의에 종종 포함하는 비평가입니다. 이는 자신이 어디서 왔고 지금은 어디에 있는지를, 즉 자신의 주체 위치를 표시하는 시도라 할 수 있어요. 그리고 스피박의 독자들은 자연스럽게 그가 살아온 여정에도 호기심을 품게 됩니다. 그렇지 않나요?

이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인터뷰가 있어 번역해 블로그에 올립니다. 안줌 카티알Anjum Katyal이 스피박의 여든 번째 생일을 기념해 기획한 인터뷰로, 올해 2월 인도의 ‘Scroll.in’ 지면에 게재되었습니다. Scroll.in의 허락을 받아 여러분과 공유합니다.

이 인터뷰는 스피박의 어린 시절에서 출발해 학창 시절과 미국 유학생 시절을 돌아보고, «그라마톨로지에 대하여» 번역과 그의 학문적 여정을 짤막하게 회고합니다. 그뿐 아니라 페미니즘과 서발턴 계급, 마하스웨타 데비에 대한 그의 생각, 그가 인도 농촌에 세운 학교들의 의의도 확인할 수 있어요.

이 인터뷰에서 드러나듯 그는 지적으로만이 아니라 신체적으로도 끊임없이 이동해 온 사상가예요. 이제 여든이 되었고 그래서 죽음을 생각한다고 말하지만 인터뷰 속 그는 여전히 힘이 넘칩니다.

홍콩에서 한국 여성 노동자들을 만난 일화나 그의 인도 학교에 얽힌 이야기들은 무척 감동적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마지막 대목을 읽고 나면 커다란 벨트로 운전자와 자신을 결속하고 오토바이 뒷자리에 앉아 농촌 마을로 향하는 그의 모습을 상상하지 않기가 어려울 거예요.

이 인터뷰가 스스로 “탈조직화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단지 다르게 결정되어” 있다고 평하는 스피박과의 비평적 내밀함을 확보하는 계기가 되길, 그리하여 «읽기»를 비롯한 그의 저작에 들어서는 데 도움을 주는 도구가 되길 기대해 봅니다.

저는 행복한 늙은 소녀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