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피투자자의 시간»에 진입하기에 앞서 읽어 볼 만한 인터뷰 하나를 번역해 공유합니다. «피투자자의 시간» 출간 후에 미셸 페어가 웹진 «퍼블릭 세미나»Public Seminar와 나눈 짧은 인터뷰로 이 책을 집필한 동기를 주로 이야기하고 있어요. 지은이 미셸 페어와 «퍼블릭 세미나»의 허락을 얻어 번역문을 블로그에 올립니다.
원문 링크: Left Melancholy, Neoliberalism, and the Investee Condition
이 인터뷰에서 페어가 말하는 동기는 크게 세 가지입니다. 첫째, 처음에 좌파는 신자유주의를 자유 방임으로의 귀환으로 여겼지만 신자유주의는 국가에 시장 관계를 활성화하고 기업가적 주체를 생산하는 역할을 맡겼습니다. 그 귀결을 분석하는 것이 하나의 동기라 할 수 있어요.
둘째, 일부 좌파는 신자유주의 이전의 케인스주의적 복지 국가로 돌아가려 하지만 이는 가능하지도 바람직하지도 않은 향수입니다. 오히려 우리는 오늘날 금융화된 자본주의가 빚은 주체성을 전유해야 한다는 것이 페어의 중요한 주장입니다.
셋째, 위의 둘 모두 미셸 푸코 덕분에 가능해진 논변이지만, 페어는 또 신자유주의에 대한 강의를 진행한 1979년의 푸코로서는 예측하기 어려웠던 어긋남이 있었다고 이야기합니다. 신자유주의 이론/정책의 의도와 결과, 즉 신자유주의와 금융화 사이에 무거운 차이가 있다는 거예요.
이 세 가지 논점 모두 앞으로 더 상세히 소개할 예정이에요. 이 짤막한 인터뷰만으로는 신자유주의와 금융화의 차이가 뭔지, 피투자자라는 주체성이 정확히 무엇을 뜻하고 조건들을 전유하는 전략이 어떤 가능성을 품고 있는지 온전히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걱정은 금물. «피투자자의 시간»과 말미에 수록한 <피셸 페어와의 인터뷰>는 풍부하고 명료한 언어로 페어의 동기와 이론적 논점, 실천적 함의를 설명하고 있어요. 이 매력적인 인터뷰에 흥미와 궁금증이 일었다면 이제 «피투자자의 시간»을 집어들 시간입니다!
… 좌파의 우울, 신자유주의, 피투자자라는 조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