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당 방위

들어가며

2017년 5월, 전 세계 23만 대 이상의 컴퓨터를 감염시킨 사상 최악의 랜섬웨어 워너크라이WannaCry(‘울고 싶지?’)가 컴퓨터 사용자들을 가히 공포의 도가니로 몰아넣었다. 영국의 국민건강서비스, 러시아 내무부와 방위부, 페덱스, 독일 철도가 최대 피해 기관으로 알려진 가운데 개인 사용자의 피해 사례도 속출했다. 한국에서도 CJ를 비롯한 기업들과 인터넷에 연결된 버스 정류장 컴퓨터들의 감염이 신고되었으며, 이에 청와대를 필두로 국정원,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인터넷진흥원 등 관련 기관이 총동원되어 ‘국가 사이버 위기 경보’를 발령하고 대국민 행동 요령을 배포하는 등 국가 재난 수준의 대응이 전개되었다. 부당 방위

object Lessons 3 _ «패스워드»

‘패스워드’의 역사란 곧 인간이 비밀을 만들고 타인의 비밀을 알고 싶어한 역사라 해도 과언이 아닐지 모릅니다. 미노타우르스의 미궁, 앨런 튜링의 에니그마,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 속 홍채 인식, 스마트폰의 ‘잠금 해제’ 매커니즘… 이 책은 이 모든 것이 패스워드에 관한 것이라고 말합니다. 패스워드는 단순히 몇 자리의 문자 조합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당신은 누구인가?’라는 질문에 알맞게 답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기억과 해독, 탈취와 방어. 패스워드는 거의 항상 이런 팽팽한 긴장의 무대에 놓여 있었습니다. 더구나 오늘날 프라이버시의 부상은 패스워드의 중요성을 전면화하고 있죠. 지은이는 패스워드의 역사와 의미, 문화적 재현의 변천 양상을 더듬어 가며 이 유서 깊은 암투의 무대 뒤편으로 향합니다. 앗, 빨리 따라오지 않고 뭐하냐고 신호하는 것 안 보이시나요?

object Lessons 3 _ «패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