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흥 문화론» 디자인 후기

488쪽. 지금까지 리시올/플레이타임에서 펴낸 책 중 가장 두껍다. 쪽수가 많은 책을 디자인할 때 제일 많이 고민하게 되는 건 종이와 판형을 결정하는 일인 것 같다. «감정화하는 사회»(128×200, 312쪽) 때도 책 두께 때문에 고려할 점이 많았는데 «부흥 문화론»은 거기에 얇은 책 하나를 덧붙여 놓은 만큼 분량이 많다. 유통되는 책들 크기가 예전에 비해 많이 작아지는 추세고 이제 신국판(152×224) 정도만 돼도 사전처럼 보이는 상황이지만 판형을 키우는 건 피할 수 없은 일 같았고, 서점 매대에 깔린 책들을 참고해 가장 적절해 보이는 정도(138×210)로 결정했다. 가로x세로 비율은 기존 리시올/플레이타임 책들과 크게 다르지 않다. 임의로 괜찮아 보이는 판형을 정해 놓고 기존 책들과 가로x세로 비율을 비교했을 때 비슷한 수치가 나오는 걸 보면 아무래도 우리는 이 정도의 비율이 보기 좋다고 느끼는 것 같다. 그걸 기준으로 몇 밀리 더하거나 빼는 식으로 조정했다. 비슷한 비율을 유지하며 우리 책을 펴내고 있다는 사실이 쓸데없이 마음에 들기도 한다. «부흥 문화론» 디자인 후기

«감정화하는 사회» 디자인 후기

«감정화하는 사회»는 책 넘김이 아주 부드럽고 말랑말랑한 느낌이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일차적으로는 분량 문제가 있었지만, 자연스럽게 페이지가 넘어가는 질감이 지은이의 속도감 있는 문체와 어울린다고 생각하기도 했다. 그래서 표지와 본문 용지를 기존에 사용하던 것보다 한 단계 가벼운 종이로 정하고 대신 커버를 추가했다.

나는 커버 씌우는 방식을 좋아한다(리시올/플레이타임의 책 중에서는 «알고 싶지 않은 것들»과 «자본주의 리얼리즘»에 커버를 만들었다). 얇은 종이로 한 겹 감싸게 되면 어딘지 선물을 포장한 것 같기도 하고, 또 표지 자체가 어떤 이야기를 담고 있는 듯이 느껴지기 때문이다. 멀리서도 파악할 수 있고 검색하면 단번에 찾아볼 수 있는 커버 표지에 비해 속표지는 숨겨져 있어 접힌 날개를 펴 커버를 벗겨야 확인할 수 있는데 그게 커버를 씌운 책들의 매력이 아닐까. 그런 수고로움을 거쳐 속표지를 확인하고 커버 디자인과 대조해 보거나 연결 고리를 상상해 보는 일이 늘 재밌기도 하고. 뒤에서 말하겠지만 특히 이 책은 모든 걸 ‘평면화’하는 감정화를 다룬 책이기 때문에 표지 디자인에 약간의 ‘입체감’을 부여하고 싶었다. 그리고 커버로 감싼 책은 특유의 책 넘김이 있는데 그 감각이 좋다. «감정화하는 사회» 디자인 후기

«자본주의 리얼리즘» 표지 디자인 후기

190520 자본주의리얼리즘 표지후기-1
«자본주의 리얼리즘» 표지(커버)

‘자본주의의 종말보다 세계의 종말을 상상하는 것이 더 쉽다’는 강렬한 문장으로 시작하는 이 책은 영국의 문화 비평가 마크 피셔의 첫 책으로 자본주의의 실패를 진단하고 대안을 모색하는 책이다. 읽기 전엔 자본주의나 대안 어쩌구 하는 딱딱한 표현들 때문에 이해하기 어렵지 않을까 걱정했다. 그런데 막상 읽어 보니 뛰어난 문화 비평가로 소문난 지은이의 글답게 논의를 영화나 음악 등 대중적인 소재들과 잘 엮어놓아 지루할 틈이 없었다. 다른 학술서들에 비해 내용이 어렵지 않고 또 문장력도 더없이 훌륭하게 느껴졌는데, 지은이가 분명 마음 따뜻한 사람일 거라 확신하게 되는 부분이 여럿 있었고 곳곳에서 코끝을 찡하게 만드는 표현을 만나기도 했다. 이렇게 보면 나는 이 책을 아주 감정적으로 읽고 받아들인 것 같기도 하다. 피셔가 심한 우울증을 앓았고 재작년 스스로 생을 마감했다는 사실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자본주의 리얼리즘» 표지 디자인 후기

«알고 싶지 않은 것들» 표지 디자인 후기

190429 알고싶지않은것들 표지후기
«알고 싶지 않은 것들» 표지(커버)

이 책은 아주 시각적인 책이다. 데버라 리비가 젠더와 인종 문제로 뒤얽힌 자신의 과거를 회고하는 자전적 에세이지만 소설이라고 해도 좋을 만큼 이야기의 흐름이 극적이고 시간과 장소, 분위기를 묘사하는 능력이 탁월하다. 나중에 알게 된 사실이지만 리비가 경력을 연극으로 시작했고 영화에도 많은 영향을 받았다고 하는데 그 덕분이 아닐까 싶다. 원고를 읽으면서 아주 인상적이었던 장면이 몇몇 있어 그 장면들을 시각화해 표지에 드러내고 싶다고 생각했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구체적인 장면들을 드러내지 않고 색감만으로 시각적인 강렬함을 주는 표지를 상상하기도 했다. 두 가지 방향을 오가며 시안 작업을 병행하다 옮긴이 선생님과 상의해 두 번째 방향으로 결정했다. «알고 싶지 않은 것들» 표지 디자인 후기

«오늘 너무 슬픔» 표지 디자인 후기

오너슬 미국판 영국판.png
«오늘 너무 슬픔»(So Sad Today) 미국판/영국판 표지

하면 할수록 어렵다 디자인. 예전에는 나를 디자이너라고 소개하는 데에 거리낄 것이 없었는데 지금은 어쩐지 쭈뼛거리게 된다. 디자이너라는 직업을 가진 사람들 중에는 대단한 사람들이 (내가 모르는 사람들까지 포함해) 너무나 많은데 내가 그런 사람들과 같은 직업명을 가져도 되는 것일지 확신이 서지 않는다. SNS에만 들어가 봐도 특정 책의 표지 디자인을 혹평하거나 찬양하는 사람들이 널렸고, 또 현재 북디자이너들의 작업이 얼마나 구린지를 단 한 문장으로 평가해 버리는 이들이 내 가슴을 후벼판다. 작업 하나하나를 거칠 때마다 부담과 불안만 커지고 그것들이 나를 못살게 군다. 이번 작업도 중간에 엉엉 울어버릴 만큼 힘이 들었는데, 그냥 이 정도가 내 한계인가 싶어 자포자기하듯 초연해졌다가도 갑자기 스스로에게 벌컥 화가 나기를 반복했던 것 같다.

«오늘 너무 슬픔» 표지 디자인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