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 싶지 않은 것들» 표지 디자인 후기

190429 알고싶지않은것들 표지후기
«알고 싶지 않은 것들» 표지(커버)

이 책은 아주 시각적인 책이다. 데버라 리비가 젠더와 인종 문제로 뒤얽힌 자신의 과거를 회고하는 자전적 에세이지만 소설이라고 해도 좋을 만큼 이야기의 흐름이 극적이고 시간과 장소, 분위기를 묘사하는 능력이 탁월하다. 나중에 알게 된 사실이지만 리비가 경력을 연극으로 시작했고 영화에도 많은 영향을 받았다고 하는데 그 덕분이 아닐까 싶다. 원고를 읽으면서 아주 인상적이었던 장면이 몇몇 있어 그 장면들을 시각화해 표지에 드러내고 싶다고 생각했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구체적인 장면들을 드러내지 않고 색감만으로 시각적인 강렬함을 주는 표지를 상상하기도 했다. 두 가지 방향을 오가며 시안 작업을 병행하다 옮긴이 선생님과 상의해 두 번째 방향으로 결정했다. «알고 싶지 않은 것들» 표지 디자인 후기

당신 작가 아닌가요?

«알고 싶지 않은 것들> 권말에는 ‘추천의 글’과 함께 소설가 박민정 작가의 ‘후기’가 실려 있습니다. 많은 번역서에서는 말미에 옮긴이의 감상이나 해설을 담은 ‘옮긴이 후기’를 수록합니다. 그런데 <알고 싶지 않은 것들>은 일반적인 옮긴이 후기가 잘 맞지 않는 것 같다는 의견을 작업 과정에서 이예원 번역가께서 주셨고, 플레이타임도 그에 공감해 내용에 대한 해설보다는 이 책에서 영감을 얻은 독자적인 글을 덧붙이기로 결정했습니다.
그리하여 여러 작가를 떠올렸고 그중 옮긴이께서 제안하신 박민정 작가가 이 책과 잘 어울린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유년기에 대한 관심과 여성 서사의 모색이라는 점에서 두 작가 사이에 접점이 있다고 느꼈기 때문입니다. 그렇게 박민정 작가께 글을 청탁했고 원고를 읽어 보시곤 기꺼이 쓰겠다는 답을 주셨습니다.
도착한 글은 박민정 작가 버전의 «알고 싶지 않은 것들»이었습니다. 이 글 <당신 작가 아닌가요?>는 언뜻 평범해 보이지만 실은 세상의 잔혹함을 드러내는 어린 시절 경험들, 그런 알고 싶지 않은 것들이 한 여성 작가의 자아에 미친 영향, 이 모든 것이 소설을 쓰는 데 있어 재산이 되더라도 이 재산이 그렇게 큰 가치가 있느냐는 의심까지, «알고 싶지 않은 것들»의 질문들을 반향하며 자신만의 경험으로 번역한 또 한 편의 자전적 에세이입니다. 더불어 이 글은 한국에서 태어난 여성 다수가 공감하지 않을 수 없는 경험들로 가득 차 있는 지금 여기의 여성 이야기이기도 합니다.
이 글이 «알고 싶지 않은 것들»에 대한 관심을 북돋는 계기가 되기를, 나아가 살아가면서 알고 싶지 않은 것들을 알게 되고 경험할 수밖에 없었던 모든 독자 분들의 공감을 불러일으키기를 바라며 블로그에 공유합니다. 당신 작가 아닌가요?

«알고 싶지 않은 것들» 추천의 글

«알고 싶지 않은 것들»은 데버라 리비라는 여성이자 작가의 자아가 탄생하는 과정을 그린 자전적 에세이입니다. 그런 이 책을 작업하면서 책의 울림과 번역의 의의를 더하기 위해 고유한 작품 세계를 구축한 한국의 여성 작가들에게 추천사를 받으면 좋겠다는 마음을 품었습니다. 그렇게 해서 한강, 김숨, 한유주라는 세 작가에게 추천의 글을 부탁드렸고, 세 분 모두 이 책이 독자들에게 많은 영감과 용기를 줄 수 있는 책임을 알아보시고 흔쾌히 수락해 주셨습니다. 그리고 데버라 리비가 회고하는 유년의 시선에, 그리고 여성 작가가 겪게 되는 곤경과 고투에 대한 성찰에 깊은 공감하을 표하는, 그와 동시에 틀에 갇히지 않은 독창적인 추천사를 보내 주셨습니다.

세 작가의 추천사는 책 본문 말미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홍보 성격의 추천보다는 감상에 기반한 단평에 가깝고, 각자 독립된 한 편의 글로 보아도 무방할 만큼 짙은 여운을 남기기 때문입니다. 이 추천의 글들을 세 분 작가의 허락을 받아 블로그에도 게재합니다.

«알고 싶지 않은 것들» 추천의 글

«알고 싶지 않은 것들»

«알고 싶지 않은 것들»
데버라 리비 지음 | 이예원 옮김 | 박민정 후기 | 148쪽 | 12,000원

여성 작가는 자기 인생을 지나치게 또렷이 느낄 형편이 못 된다. 그리할 경우 그는 차분히 글을 써야 할 때 분노에 차 글을 쓰게 된다. […] 작가가 되고자 나는 끼어들고, 소리 내어 말하고, 목청을 키워 말하고, 그보다 더 큰 소리로 말하고, 그러다가 종국에는 실은 전혀 크지 않은 나 자신의 목소리로 말하는 법을 배워야 했다.

긴 공백기에서 돌아와 두 차례 맨부커상 최종심에 오르며 문단과 독자의 이목을 다시 사로잡은 작가 데버라 리비의 자전적 에세이. 여성이자 작가로서 삶과 언어가 맞이한 위기를 극복하고자 아파르트헤이트 시절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보낸 유년기로 돌아간다. 그리고 인종과 젠더 차별이 공공연하게 자행되던 그곳에서 말을 잃은 아이의 눈에 비친 ‘알고 싶지 않은 것들’의 잔인한 현실과 그 아이에게 용기를 준 여성들의 이야기를 되짚는다. «알고 싶지 않은 것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