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레스타인인의 자결권을 위해, 중동에서 제국주의 세력의 철수를 위해

질베르 아슈카르의 인터뷰 한 편을 번역해 블로그에 게시합니다. 저항과 동원, 연대의 현황에 초점을 맞춘 인터뷰로 2월 8일 프랑스의 ≪앵프레코르≫ 지면에 게재되었고, ≪인터내셔널 뷰포인트≫에 영어로 번역되었습니다.

2023년 10월 7일 이후 이스라엘은 “집단 학살의 교과서적 사례”라 불릴 정도의 파괴를 자행했지만 초반에는 이에 대한 저항의 불길이 거세게 퍼져 나가지 않았습니다. 이스라엘의 선전, 각국의 지원과 공모, 대중 운동의 침체 등이 동원과 연대를 움츠러들게 한 요인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 인터뷰에서 아슈카르는 그 원인을 밝히고 그럼에도 점점 더 확대되고 있는 저항의 물결을 조명합니다. 나아가 현 시점에 팔레스타인인의 저항과 연대 운동이 무엇을 요구해야 하는지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명확히 밝히고 있습니다.

≪이스라엘의 가자 학살≫이 학살 전쟁의 원인과 실상을 분석하는 시도였다면, 이번 인터뷰는 저항과 대안에 대한 그의 견해를 드러내 주는 자료입니다. 절망적인 상황에서 어떻게 생각하고 무엇을 요구할 수 있을지 고민하는 분들에게 함께 읽기를 권하고 싶은 글입니다.

프랑스어판 링크: https://inprecor.fr/node/3815
영어판 링크: https://internationalviewpoint.org/spip.php?article8436

팔레스타인인의 자결권을 위해, 중동에서 제국주의 세력의 철수를 위해

파주에서

소설가 황정은 선생님의 신작 에세이 <파주에서>를 공유합니다. «이스라엘의 가자 학살» 출간을 기해 청탁드린 글로, 가자의 비극과 고립을 알리고 연대를 요청하는 뜻을 담아 이 글을 집필해 주셨습니다.

작년 10월 7일 이후 이스라엘은 가자 지구를 향한 잔인한 보복에 나서는 한편, 전방위적 프로파간다로 세계의 눈과 입을 가리는 것에 온 힘을 쏟았습니다. 그 책략의 효과로 이스라엘의 폭주를 제어해야 한다는 말을 꺼내기도, 그런 말이 전파되기도 어려운 분위기가 만들어졌던 것 같아요.

그런 답답함을 느끼던 중, 황정은 선생님이 팟캐스트 «책읽아웃: 황정은의 야심한 책»(367-2회, 2023년 11월 17일 자)[1]에서 프리모 레비의 «주기율표»를 경유해 이스라엘이 지금 벌이고 있는 일을 “대량 학살 제노사이드”로 명확히 언명하고 ‘한국 사회에 도착해야 할 팔레스타인의 이야기’를 요청한 것에 큰 힘을 얻었습니다. «이스라엘의 가자 학살» 출간도 이 일과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겠고요.

편지 형식으로 쓰인 이 글은 고립된 ‘거기’와 우리의 ‘여기’들을 연결하려는 시도입니다. 우리가 가자와 하늘을 공유한 이상 누구도 이 학살과 무관할 수 없음을 일깨우는 글입니다. 21세기 최악의 대량 학살 범죄에 종지부를 찍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할 것인지 이 글과 함께 고민해 보면 좋겠습니다.

파주에서